엔비디아 레버리지 및 커버드콜로 주배당 지급하는 NVII ETF 분석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섹터인 인공지능(AI).
진짜 요즘 보면 인공지능이 알게 모르게 많이 쓰이고 있는 것 같다.
챗GPT도 뭔가 생소했는데 이제는 챗GPT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공지능 챗봇들도 많이 등장했고 대중화되었음.
![]() |
인공지능 깡 짤 |
그 만큼 인공지능이 우리 삶에 많이 스며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지능 섹터의 수혜를 입으면서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500 지수를 이끄는 7개의 주식을 매그니피센트7이라고 한다.
✅ 매그니피센트7: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
이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도 가장 핫한 녀석을 꼽자면 단연 엔비디아다.
때문에 이러한 엔비디아 주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컨셉의 ETF들이 등장해왔는데, 오늘은 굉장히 신박한 컨셉의 ETF를 발견해서 한 번 공부를 해볼까한다.
목차
⏩ NVII ETF 기본정보
⏩ NVII ETF 배당금
⏩ NVII ETF 주가
NVII ETF 기본정보
우선, NVII ETF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부터 살펴보자.
✅ 레버리지 전략: 엔비디아 주가의 일별 수익률 1.05배 ~ 1.5배
✅ 커버드콜 전략: 약 50%의 비중은 커버드콜 옵션 전략 구사
NVII ETF는 레버리지 전략과 커버드콜 전략, 이렇게 2개의 투자 전략을 모두 구사하는 신기한 컨셉으로 운영되고 있다.
NVII ETF의 포트폴리오 절반은 커버드콜 옵션 전략을 구사해서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의 비중은 엔비디아 주가 일별 수익률을 1.05배 ~ 1.5배(보통 1.25배라고 함) 레버리지로 추적한다.
그래서 배당금도 다른 엔비디아 관련 ETF들보다 더 달달하게 지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엔비디아 본 주식의 상승분을 어느 정도 따라갈 여력이 있음.
✅ 자산운용사: Rex shares
✅ 출시일: 2025년 5월 27일
✅ 운영규모: $12.18M
✅ 운용수수료: 0.99%
NVII ETF는 Rex shares라는 자산운용사에서 2025년 5월 27일에 출시했다.
Rex shares라는 자산운용사는 엄청나게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의 인지도는 있고 여러 레버리지 ETF들도 운영하고 있음.
때문에 완전 초짜 자산운용사는 아니라는 점!
다만, NVII ETF가 출시된 지는 이제 약 3달도 채 안되었기 때문에 제대로 된 하락장을 겪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이 부분은 조금 리스크라고 생각될 수 있을 것 같다.
운영규모는 $12.18M으로 출시된 지도 얼마 안 되었고, 뭐 메이저 자산운용사가 출시한 ETF도 아니어서 규모가 작은 편임..
수수료는 0.99%로, 비싼 수수료이기는 하지만 레버리지랑 커버드콜 총 2개의 전략을 구사하는 ETF라서 그래도 이해해줄만한 수수료라고 생각함.
NVII ETF 배당금
✅ 배당주기: 주배당
✅ 시가 배당률: 37.99%
✅ 배당락일: 매주 화요일
✅ 배당지급일: 매주 수요일
NVII ETF는 매 주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배당 ETF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월 배당을 지급하는 ETF들도 희귀했는데, 이제는 매주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배당 ETF들이 꽤나 많아진듯!
쨌든 이러한 NVII ETF의 시가 배당률은 37.99%로, 요즘 일드맥스 ETF들이 워낙 무친 배당률을 자랑하기 때문에 작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 정도만 해도 진짜 괴랄한 배당률이다.
배당락일은 매주 화요일이고, 배당지급일은 매주 수요일인데 이는 미국 현지 기준이기 때문에 실제 배당금을 지급하는 건 목요일이나 금요일쯤 될 듯 싶음.
✅ NVII ETF 최근 배당금 지급 내역
![]() |
NVII 배당내역 |
위는 NVII ETF의 최근 배당금 지급 내역으로, 주당 평균적으로 0.15 ~ 2달러 수준의 배당금을 매주 지급하고 있다.
배당금만 생각해보면 상당히 달달한 NVII ETF.
그렇다면 주가는 과연 어떨까...?
NVII ETF 주가
![]() |
NVII 주가 |
위는 NVII ETF랑 엔비디아 그리고 일드맥스의 NVDY ETF의 최근 1개월간의 주가를 비교해본 차트다.
엔비디아가 역시 셋 중 가장 높은 주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고, NVII ETF가 엔비디아의 수익률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엇비슷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음.
역시 그냥 커버드콜 전략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절반은 레버리지로 엔비디아의 일별 주가수익률을 추적하기에 이런 좋은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
이에 반해서 일드맥스의 NVDY ETF는 하락폭도 굉장히 크고 수익률도 낮은 모습임.
하지만 NVDY ETF는 워낙 높은 고배당을 지급하고 있으니, 각자 성향에 따라서 투자하면 될 듯 싶다.
예전에도 NVII ETF를 이 블로그에 분석했었는데, 그 때는 조금 부정적인 시선으로 봤었는데 지금은 나도 투자하고 싶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