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국주식인 게시물 표시

드디어 등장한 솔라나 레버리지 ETF들 총 정리(SSK, SOLZ, SOLT)

이미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제외하고, 여러 코인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투자자들에게 가장 많이 거론되는 코인 중 하나가 솔라나 코인이다. 솔라나 코인 내 친구 중에 한 놈도 솔라나 코인을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하고 있기도 함. 하지만 코인에 직접 투자하길 꺼려하는 사람들도 많고, 이런 코인 수익률에 만족 못하고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싶은 사람들도 많다. 오늘은 그래서 이러한 솔라나 코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ETF 와 레버리지를 활용해서 투자할 수 있는 ETF를 공부해볼까 함.  목차 ⏩ 솔라나 현물 기반 ETF ⏩ 솔라나 선물 기반 ETF ⏩ 솔라나 선물 레버리지 ETF 솔라나 현물 기반 ETF 미국 최초로 솔라나 코인 현물을 기반 으로 해서 출시된 ETF가 있으니 바로 SSK ETF. ✅ 자산운용사: Rex shares  ✅ 출시일: 2025년 7월 1일 ✅ 운영 규모: $177.89M ✅ 운용 수수료: 1.40% SSK ETF는 Rex shares라는 자산운용사에서 2025년 7월 1일에 출시한 ETF다. 자산운용사 규모는 안정적이지만, 이제 출시한지 딱 한 달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인이 보수적인 성향의 투자자라면 조금 불안할만하다. 운영 규모가 $177.89M으로, 아직 출시된 지 한 달 밖에 안 되어서 그런지 규모가 크지는 않다.. 그래도 한 달차 치고는 양호한 운영 규모이긴한듯! (아무래도 유일한 솔라나 코인 현물 ETF라서 그런듯..) 운용 수수료는 1.40%로, 상당히 비싼 축에 속한다. 수수료가 이렇게 비싼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데, 솔라나 코인 현물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스테이킹 수익까지 받을 수 있다. ✅ 스테이킹이란: 특정 암호화폐를 잠금하여, 블록체인의 보안이나 거래검증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는 시스템 SSK ETF에 투자하면, 솔라나 코인 스테이킹 수익을 월 배당 형식으로 지급 받을 수 있다고 함! ✅ SSK ETF 최근 배당금 지급 내역 - 배당락일 : 2025년...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 써클 인터넷 그룹(CRCL) 주가 및 기업분석

이미지
적금이나 예금은 일체없이, 오로지 미국 커버드콜 ETF에만 몰빵하고 있는 나 댕꿀오소리. 하지만 미국 커버드콜 ETF를 제외하고도 유일하게 투자하고 있는 놈이 있으니 바로 비트코인이다. 비트코인 시세 올해 들어서 비트코인을 비롯해서 각종 코인들의 가격이 엄청나게 뛰었고, 자체적 고점을 갱신한 뒤에 횡보하고 있는 중 이다. 내 자산 중에서도 비중이 작긴 하지만 현재 비트코인의 수익률이 가장 높다. 이 때문인지 코인과 관련이 있는 코인 관련주들의 주가도 상당히 많이 오른 상태인데, 오늘은 그 중에서도 스테이블 코인 관련주인 써클 인터넷 그룹 에 대해서 한 번 공부해볼까한다.  목차 ⏩ 써클 인터넷 그룹 기업 개요 ⏩ 최근 분기별 실적 ⏩ 써클 인터넷 그룹 주가 써클 인터넷 그룹 기업 개요 우선, 써클 인터넷 그룹을 살펴보기 전에 스테이블 코인이 뭔지부터 간략하게 살펴보고가자. ✅ 스테이블 코인이란 : stable(안정적인) coin, 이름 그대로 안정적인 성향을 가진 코인 으로 가치 변동성이 거의 없다. 주로 미국 달러나 유로, 금이나 채권같은 안정자산에 1:1로 연동 되도록 설계되어 있음. 스테이블 코인 미국이 현재 이 스테이블코인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고 있는데, 정부 차원에서 일부 은행이나 기업들에만 달러나 미국채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는 중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채를 기존보다 더 쉽고 안정적이게 거래 할 수 있기에 미국이 경제적 패권을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어쨌든 오늘 공부할 써클 인터넷 그룹은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 수 있는 기업 중 하나 다! 2013년에 설립되었으며, USDC 및 유로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분야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써클 인터넷 그룹 사업 써클 인터넷 그룹이 하는 사업은 크게 3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가장 큰 건 역시 스테이블 코인 발행 인데, 미국 달러나 국채와 1:1로 ...

트럼프 관련주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MAGA ETF 분석

이미지
진짜 역대급 상남자적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트럼프. 트럼프 탱크 짤 타국 입장에서는 관세니 뭐니 해서 트럼프가 아니꼽게 보일 수도 있지만, 내가 만약 미국 시민이라면 엄청나게 만족할듯..! ' M AKE A MERICA G REAT A GAIN' 트럼프가 내세웠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슬로건 그대로 미국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하면서 외교 를 하고있다. 때문에 트럼프 관련주들도 꽤나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중인데, 오늘은 이러한 트럼프 관련주들에 한꺼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있어서 한 번 공부해볼까한다.  목차 ⏩ MAGA ETF 기본정보 ⏩ MAGA ETF 배당금 ⏩ MAGA ETF 주가 MAGA ETF 기본정보 MAGA는 앞서 소개했던 트럼프의 슬로건인 'Make America Great Again'의 앞글자를 따서 이름이 탄생한 ETF다. 운영방식이 굉장히 독특한데, 트럼프의 'America First' 한 마디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지지한 공화당 정치인들에게 정치자금을 가장 많이 기부한 기업들 로만 구성되어있음. 미국은 기업들이 정치인들에게 정치자금을 기부하는 것이 합법이고,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에 별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전 세계 어디를 봐도 이런 컨셉의 ETF는 MAGA ETF가 최초 다. ㅋㅋ 그렇다고, 보수성향의 아무 기업이나 구성종목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그러한 기업들 중 시가총액이 큰 100개 내외의 대형주 들을 구성종목으로 포함시킨다고 함. 아래가 현재 기준 MAGA ETF의 구성종목 Top10이다. ✅ MAGA ETF 구성종목 Top10 maga etf 구성종목 확실히 공화당이 잡으면, 조금 더 기업 운영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에너지주들이나 방산주, 증권주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구성종목들이 꽤나 괜찮은듯..? 추가로 분기별로 구성종목이 리밸런싱 이 된다고..! ✅ 자산운용사: point bridge capital ✅ 출시일: 2017년 9월 6...

YMAX 배당 및 주가 분석, 일드맥스의 고배당 커버드콜로 구성된 ETF

이미지
하루라도 빨리 세후 월 배당금 200만원을 훌쩍 넘기고, 조기은퇴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고 싶은 댕꿀오소리. 이 때문에 어떻게 하면 원금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높은 수준의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다. 아무도 나를 모르고 돈 최근 들어서,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건지 고배당을 지급하는 다양한 커버드콜 ETF들이 등장했다. 그러다가 월배당이 아닌 매주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배당 ETF들도 대거 등장 했는데, 오늘은 그러한 주배당 ETF 중 하나인 YMAX ETF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볼까한다.  목차 ⏩ YMAX ETF 기초정보 ⏩ YMAX ETF 배당금 ⏩ YMAX ETF 주가 YMAX ETF 기초정보 ✅ 자산운용사 : Yeild Max ✅ 출시일 : 2024년 1월 16일 ✅ 운영규모 : $1.05B ✅ 운용수수료 : 1.28% YMAX ETF는 최근에 가장 핫한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일드맥스 에서 2024년 1월 16일에 출시한 ETF다. 일드맥스야 워낙 인지도가 높은 자산운용사라서 100% 안전하다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운용사적 측면에서 최소한의 안정성은 갖춰져있다고 볼 수 있다. 출시된 지는 이제 막 1년이 조금 더 넘었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아직은 더 지켜봐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투자할만한 하다고 보여짐. 운영 규모는 $1.05B 으로, 미국 대표 지수나 대형섹터를 추적하는 ETF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출시기간 대비 규모가 꽤나 큰 편 이다. 역시 나처럼 빠르게 배당금을 늘리고 싶은 사람들이 많은 듯! 운용 수수료는 1.28% 로, 수수료가 진짜 상당히 사악하긴 하다... ✅ YMAX ETF 구성종목 Top10 ymax 구성종목 위는 YMAX ETF의 구성종목들 중 비중이 높은 상위 10개를 추려놓은건데, 전부 일드맥스 본인들이 출시하고 운영 중인 ETF들 뿐이다. 전부 고배당을 지급하는 커버드콜 컨셉의 ETF들이기 때문에, 이를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

엔비디아 레버리지 및 커버드콜로 주배당 지급하는 NVII ETF 분석

이미지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섹터인 인공지능(AI). 진짜 요즘 보면 인공지능이 알게 모르게 많이 쓰이고 있는 것 같다. 챗GPT도 뭔가 생소했는데 이제는 챗GPT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공지능 챗봇들도 많이 등장했고 대중화되었음. 인공지능 깡 짤 그 만큼 인공지능이 우리 삶에 많이 스며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공지능 섹터의 수혜를 입으면서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500 지수를 이끄는 7개의 주식을  매그니피센트7이라고 한다. ✅ 매그니피센트7: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 테슬라, 메타 이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도 가장 핫한 녀석을 꼽자면 단연 엔비디아 다. 때문에 이러한 엔비디아 주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컨셉의 ETF들이 등장해왔는데, 오늘은 굉장히 신박한 컨셉의 ETF를 발견해서 한 번 공부를 해볼까한다.  목차 ⏩ NVII ETF 기본정보 ⏩ NVII ETF 배당금 ⏩ NVII ETF 주가 NVII ETF 기본정보 우선, NVII ETF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부터 살펴보자. ✅ 레버리지 전략 : 엔비디아 주가의 일별 수익률 1.05배 ~ 1.5배  ✅ 커버드콜 전략 : 약 50%의 비중은 커버드콜 옵션 전략 구사 NVII ETF는 레버리지 전략과 커버드콜 전략, 이렇게 2개의 투자 전략을 모두 구사 하는 신기한 컨셉으로 운영되고 있다. NVII ETF의 포트폴리오 절반은 커버드콜 옵션 전략을 구사 해서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의 비중은 엔비디아 주가 일별 수익률을 1.05배 ~ 1.5배 (보통 1.25배라고 함) 레버리지로 추적 한다. 그래서 배당금도 다른 엔비디아 관련 ETF들보다 더 달달하게 지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엔비디아 본 주식의 상승분을 어느 정도 따라갈 여력이 있음. ✅ 자산운용사 : Rex shares ✅ 출시일: 2025년 5월 27일 ✅ 운영규모 : $12.18M ✅ 운용수수료 : 0.99% NVII ...

코인 기반 레버리지 및 커버드콜 전략의 COII ETF 배당금 및 주가 분석

이미지
수저 탈출 프로젝트 카테고리에 있는 글들을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이 글을 적고 있는 본인은 진짜 커버드콜 ETF에 미친 남자다. 박명수 짤 하루라도 빨리 직장을 벗어나서,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기 때문에 고배당을 지급하는 커버드콜 ETF에만 집중 투자 중 이다. 지금까지 모은 전 재산 4,000만원 정도를 그냥 커버드콜 ETF에 다 때려박음 ㅋㅋㅋ (최근에 적금도 깨고 그 돈으로 주배당 지급하는 ULTY ETF 1,000주 매수)  쨌든 그래서 평소에도 커버드콜 ETF를 자주 찾아보는 편인데, 되게 신박한 컨셉의 ETF를 발견해서 한 번 공부해볼겸 블로그에 분석해보려함.  목차 ⏩ COII ETF는 어떤 컨셉으로 운영? ⏩ COII ETF 기본정보 ⏩ COII ETF 배당금 ⏩ COII ETF 주가 COII ETF는 어떤 컨셉으로 운영? COII ETF는 코인베이스라는 주식을 기반으로 레버리지와 커버드콜 전략을 동시에 구사하는 컨셉 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가 성장은 레버리지로 챙기고,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서 투자자들에게 배당금까지 지급한다는 말인데..! 페페 상상도 못한 정체 ✅ 주가: 레버리지 비율 1.05배 ~ 1.5배 ✅ 배당금: 콜옵션 매도를 통해서 주배당 지급 레버리지 비율은 1.05배 ~ 1.5배 정도라고 하며, 그 때마다 상황에 따라서 액티브적으로 운영 되는듯함. 커버드콜이야 뭐 당연히 중간중간 콜옵션 매도를 통해서 수익 을 내면서 이 돈으로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을 지급 하는거고..! 이게 말로만 들으면 진짜 환상의 찰떡궁합 조합이긴한데, 이 전까지 이런 컨셉의 ETF는 존재하지 않았었기에 아직은 조금 불안한 요소가 있어보임. 무적 컨셉의 ETF라면, 이 전에 존재하던 초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이런 컨셉의 ETF를 빠르게 출시하지 않을리가 없는데 말이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적어도 1년 정도는 배당금이 어떻게 지급되는지, 주가는 어떻게 흘러가는지 좀 봐야할듯 싶음. COII ETF 기본정보 ✅ 자산운용...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 총 정리 (IONX, IONZ)

이미지
국내에 존재하는 주식 투자자들 중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을 서학개미라고 한다. 나 또한 그런 서학개미 중 한 명이다. 그런데 이런 서학개미들이 투자를 선호하는 몇 몇 개별종목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아이온큐다. ✅ 아이온큐란? 아이온큐 기업개요 아이온큐가 분명 양자컴퓨터 대장주 는 맞으나, 아직 양자컴퓨터가 현실에서 제대로 상용화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리스크가 큰 종목이다. 때문에 상승할 때는 엄청나게 상승하고, 하락할 때는 미친듯이 하락 함. 이래서인지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ETF도 출시되었는데, 오늘은 이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한 번 공부해볼까한다.  목차 ⏩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ETF ⏩ 아이온큐 인버스 ETF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ETF 미국주식시장이 아닌 런던주식시장에 3배 레버리지 ETF인 ION3라는게 있었는데, 올해 초에 젠슨황의 '양자컴퓨터 그거 아직 상용화되려면 멀었는데..?'라는 발언으로 아이온큐의 미친 떡락이 있었고.. 이에 따라서 ETF 순가치가 마이너스가 되어서 청산절차가 진행되어 버렸음.. 그래서 아이온큐 3배 레버리지 ETF는 이제 사라졌고,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밖에 남지 않았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아이온큐 2배 레버리지 ETF는 IONX ETF 딱 하나 뿐! ✅ 자산운용사: Tidal Financial Group ✅ 출시일: 2025년 3월 11일 ✅ 운영규모: $76M ✅ 운용수수료: 1.31% IONX ETF는 Tidal Financial Group이라는 자산운용사에서 2025년 3월 11일에 출시했다. Tidal Financial Group은 Defiance라는 ETF 브랜드를 운영 중인데, 이 ETF 브랜드가 꽤나 인지도가 있는 편이여서 자산운용사적 안정성은 괜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출시기간. 출시된 지 이제 4달밖에 안 되었고, 아이온큐라는 주식 자체가 뭐 테슬라나 애플처럼 덩치가 큰 씩씩한 종목도 아니기 ...

S&P500 지수 수익률을 뛰어넘는 SPMO ETF 주가, 배당금 및 세부 분석

이미지
내 블로그를 쭉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나는 고배당을 지급하는 커버드콜 ETF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는 중임. 하지만 계속해서 고배당 커버드콜 ETF만 매수할 생각은 없고, 내가 목표로 하는 월 배당금을 달성하면 성장주 위주의 투자를 할 생각도 있다. 그치만 개별 종목 성장주에 투자하는건 너무나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아마 투자하게 된다면 ETF를 활용할 것 같은데 이는 나뿐만 아니라 많은 투자자들도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오늘은 그래서 여러 ETF들 중에서 특히나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SPMO ETF에 대해서 한 번 공부해볼까 한다  목차 ⏩ SPMO ETF 기본정보 ⏩ SPMO 주가 ⏩ SPMO와 다른 ETF들 수익률 비교 SPMO ETF 기본정보 우선, SPMO ETF가 어떤 식으로 운영되는 ETF인지부터 알아보자. ✅ S&P500 지수 내에서 상승모멘텀이 큰 100개의 종목들로만 구성 SPMO는 S&P500 지수 내에 속해있는 종목들 중에서 상승 모멘텀이 큰 100개 종목들을 위주로 선별해서 투자하는 컨셉의 ETF다. SPMO 구성종목 위가 바로 SPMO ETF의 구성종목 상위 10개인데, 확실히 미국 주식 시장 내에서 가장 시총도 크고 섹터별로 성장력이 강한 놈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S&P500 지수보다 오히려 더 높은 주가 수익률을 보여줄 때도 있고, 하락도 더 강하게 하락한다. 자.. 그럼 이제 SPMO ETF의 기본정보들도 한 번 살펴보자. ✅ 자산운용사 : 인베스코 ✅ 출시일 : 2015년 10월 9일 ✅ 운영규모 : $9,785M ✅ 운용수수료 : 0.13% ✅ 배당률 : 0.58% SPMO는 인베스코라는 자산운용사에서 2015년 10월 9일에 출시한 ETF로, 자산운용사 규모나 인지도가 세계에서 탑급이다. 자산운용사적 안정성은 보장되어 있다고 보면 됨. 출시된 지도 이제 곧 10년차로, 역사가 짧은 편은 아니기에 운용 기간측면 안정성도 꽤나 괜찮다. ...